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내가 버는 월급은 평균에 속할까?

잡학다식한그대 멋져요

by Dreaming40 2025. 2. 26. 00:06

본문

반응형

내 월급은 평균에 속할까? 현실적인 월급 통계 살펴보기

직장인이라면 한 번쯤 "내 월급은 평균보다 많은 걸까, 적은 걸까?"라는 궁금증을 가져봤을 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임금근로자 소득 자료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직장인의 월평균 소득은 363만 원으로 집계되었다. 이 수치는 세전 기준이며, 고용주가 지급하는 월 단위 보수를 의미한다.

그렇다면, 나의 월급은 평균과 비교했을 때 어디쯤 위치할까? 조금 더 세부적인 데이터를 살펴보자.


평균 소득과 중위 소득의 차이

월평균 소득이 363만 원이라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대체로 이 정도의 급여를 받고 있을까? 꼭 그렇지는 않다. 평균값은 일부 고소득자가 끌어올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보다 현실적인 기준으로 **"중위소득"**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좋다.

📌 중위소득: 소득을 크기 순으로 나열했을 때 한가운데 위치한 값
📌 2023년 중위소득: 278만 원 (전년 대비 4.1% 증가)

즉, 절반의 근로자는 278만 원 이하를 벌고, 나머지 절반은 그 이상을 번다는 의미다. 단순히 평균 소득만 보고 "대부분이 363만 원을 받는다"고 오해하면 안 된다.


대기업 vs. 중소기업, 어디에서 일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월급

기업 규모에 따라 월급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 대기업: 593만 원
  • 중소기업: 298만 원
  • 비영리기업: 349만 원

대기업 직원의 평균 소득이 중소기업 직원보다 약 2배 많다는 점이 눈에 띈다. 그러나 최근 1년간 임금 상승률을 보면, 중소기업의 평균 소득이 4.3% 증가해 대기업(0.4%)보다 더 많이 올랐다.


업종별 소득 차이: 금융업은 많고, 숙박업은 적다

일하는 업종에 따라 월급 차이도 크다. 가장 평균 소득이 높은 업종낮은 업종을 비교해보자.

가장 소득이 높은 업종

  • 금융·보험업: 753만 원
  • 전기·가스·증기·공기조절 공급업: 675만 원

가장 소득이 낮은 업종

  • 숙박·음식점업: 181만 원
  • 협회·단체·기타 개인서비스업: 223만 원

금융업과 숙박업의 평균 소득 차이가 4배 이상이라는 점이 인상적이다.


성별·연령별 월급 차이

남녀 간 월급 차이도 존재한다.

  • 남성 평균 소득: 426만 원
  • 여성 평균 소득: 279만 원
  • 남성이 여성보다 1.5배 더 받는다.

또한, 연령대별로 보면 40대(451만 원), 50대(429만 원), 30대(386만 원) 순으로 소득이 많다. 경력이 쌓일수록 급여가 증가하는 구조다.


결론: 내 월급은 어디에 속할까?

내 월급이 363만 원을 넘는다면 평균 이상이지만, 보다 현실적인 기준인 중위소득(278만 원)과 비교해보는 것이 좋다. 또한, 업종과 기업 규모에 따라 소득 차이가 크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자신의 소득이 평균보다 낮다고 해서 너무 실망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꾸준한 경력 관리와 재테크를 통해 실질적인 자산을 늘려가는 것이다. 그렇다면 여러분의 월급은 평균에 속할까? 💰

 

이상, 원더풀 걸이었습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