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랬을수도 있어!! 라는 표현은 바로 might have pp 를 씁니다. 문장을 만들어 보면요 ~“I might have bumped into something yesterday.” 1. might have + p.p (과거분사) • 과거에 일어났을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 “might”는 “may”보다 더 약한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 예: She might have forgotten her phone. (그녀가 폰을 잊어버렸을지도 몰라.)(*forgetten: forget의 pp) 2. bump into + something/someone 1️⃣ I accidentally bumped into the table and spilled my coffee.(나는 실수로 테이블에 부딪혀 커피를 쏟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