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시스템: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의 성장 전략
최근 K-POP 시장에서 하이브(HYBE)의 행보는 단순한 엔터테인먼트 기획사를 넘어 글로벌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하이브가 채택한 "멀티 레이블 시스템"은 여러 음악 기획사를 인수 및 투자하면서도 각 레이블의 독립성을 유지하는 전략입니다. 이 글에서는 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시스템이 무엇인지, 그리고 각 레이블의 특징과 역할을 살펴보겠습니다.
1. 멀티 레이블 시스템이란?
멀티 레이블 시스템은 대형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여러 개의 독립적인 음악 레이블(기획사)을 인수하거나 투자하면서, 각 레이블이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입니다. 이를 통해 하이브는 다양한 아티스트와 음악 장르를 포괄하면서도, 기업 전체의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멀티 레이블 시스템의 핵심 요소
- 각 레이블의 독립성 유지: 인수된 회사들은 기존의 브랜드와 경영진을 유지하며 독립적으로 운영됩니다.
- 하이브의 투자 및 지원: 하이브는 자금, 글로벌 네트워크, 기술력 등을 제공하여 각 레이블이 성장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포트폴리오 다각화: 여러 아티스트와 음악 스타일을 확보함으로써 특정 아티스트나 장르에 의존하는 위험을 줄이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2. 하이브 산하 주요 레이블 및 특징
① 빅히트 뮤직 (BigHit Music)
하이브의 시작점이 된 빅히트 뮤직은 BTS(방탄소년단)와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를 보유한 레이블로, K-POP을 글로벌 음악 시장에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대형 팬덤과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갖춘 핵심 레이블입니다.
② 쏘스뮤직 (Source Music)
여성 아티스트 중심의 레이블로, 현재는 LE SSERAFIM(르세라핌)을 주축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실력과 퍼포먼스를 강조하는 그룹을 선보이며 차별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③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Pledis Entertainment)
세븐틴과 프로미스나인(Fromis_9)을 보유한 레이블로, 자체 프로듀싱 시스템이 강점입니다. 세븐틴의 경우 멤버들이 직접 앨범 제작에 참여하며 음악적 정체성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④ KOZ 엔터테인먼트 (KOZ Entertainment)
아티스트 지코(ZICO)가 설립한 레이블로, 힙합 및 트렌디한 음악 스타일을 중심으로 활동합니다. 최근에는 BOYNEXTDOOR라는 새로운 보이그룹을 선보이며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⑤ 어도어 (ADOR)
민희진 대표가 이끄는 독립 레이블로, 뉴진스(NewJeans)를 탄생시킨 곳입니다. 차별화된 음악과 감각적인 콘셉트로 빠르게 팬층을 확보하며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⑥ 이타카 홀딩스 (Ithaca Holdings)
미국 기반의 이타카 홀딩스는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 세계적인 팝 아티스트들을 보유한 기업으로, 하이브의 글로벌 확장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되고 있습니다.
3. 멀티 레이블 시스템의 효과
하이브의 멀티 레이블 전략은 단순한 아티스트 확장이 아니라, 음악 IP(지적재산권), 콘텐츠, 플랫폼까지 아우르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다양한 장르와 시장을 공략할 수 있으며, 특정 그룹의 부침에 따른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습니다. 앞으로 하이브가 이 시스템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지 더욱 기대됩니다.
'잡학다식한그대 멋져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교육]수능 영어 지문과 고등 고난도 지문의 렉사일 지수는 얼마나 될까? (2) | 2025.03.09 |
---|---|
홈플러스 망한건가? (0) | 2025.03.09 |
청소년도 쉽게 사는 액상형 전자담배 , 담배로 인정하는 법안이 무산? (0) | 2025.03.02 |
미국의 전설적인 배우 진 해크먼 자택에서 숨진채 발견되었다고 하네요. (0) | 2025.02.28 |
내가 버는 월급은 평균에 속할까? (0) | 2025.02.26 |